
(2) 노화에 따른 변화와 주요 질환
7. 신경계
가. 노화에 따른 특성
- 근육의 긴장과 자극 반응성의 저하
- 감각이 둔화
- 정서 조절이 불안정
- 단기기억은 감퇴되나 장기기억은 대체로 유지
나. 주요 질환
- 치매, 뇌졸중, 파킨슨

8. 감각기계
가. 노화에 따른 특성
1) 시각
- 눈물 양이 감소
- 공막에 갈색점이 생긴다
- 각막반사가 저하
- 수정체가 노란색으로 변화는 황화현상으로
보라색, 남색, 파란색의 구분에 어려움을 느낀다.
- ‘노안’이 된다.
- 눈부심의 증가, 시력 저하, 빛 순응의 어려움 등이 나타난다.
2) 청각
- 음의 전달 능력이 감소
- 소리의 감수성, 말의 이해, 평형 유지에 문제가 발생한다.
- 노인성 난청이 여성보다 남성에게 흔하게 나타난다.
3) 미각
- 미뢰의 개수와 기능이 감소
- 신맛과 쓴맛을 감지하는 미뢰는 기능을 더 잘 하고,
단맛과 짠맛을 감지하는 미로이ㅢ 기능은 점차 떨어진다.
- 맛에 대한 감지 능력의 저하로
4) 후각
5) 촉각
가. 주요 질환
1) 녹내장
- 안압(눈의 압력)의 상승으로 시신경이 손상되어 시력이 점차 약해지는 질환
<증상>
- 좁은 시야, 눈 이물감
- 뿌옇게 혼탁한 각막
- 안구 통증
- 두통, 구역질
- 심하면 실명된
2) 백내장
- 수정체가 혼탁해져서 빛이 들어가지 못하여 시력장애가 발생하는 질환
눈동자에 하얗게 백택 껴서 뿌옇게 보이거나 잘 안 보이게 된다.
<관련 요인>
- 노화
- 당뇨병, 고혈압 등의 합병증
<증상>
- 동공의 백색 혼탁
- 밤과 밝은 불빛에서의 눈부심
- 시력 감소
3) 노인성 난청
- 노화에 따른 고막, 내이의 퇴행성 변화에 의한 청력 감소
<치료 및 예방>
- 감소된 청력을 근본적으로 복구하는 치료는 없다.
- 소음이 없는 장소에서 말하는 사람의 얼굴을 볼 수 있게 하고,
천천히 또박또박 말한다.
- 고음의 큰 소리보다는 저음의 차분한 소리로 말해준다.
[출처] 요양보호사 양성 표준교재 / 보건복지부, pp172-178.
'국가자격증 > 자격증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양보호사] 제2장 요양보호 관련 기초지식 / 2. 치매, 뇌졸중, 파킨슨질환 (0) | 2022.07.10 |
---|---|
[요양보호사] 제2장 요양보호 관련 기초지식 / 1-8. 노화에 따른 변화와 질환 (0) | 2022.07.10 |
[요양보호사] 제2장 요양보호 관련 기초지식 / 1-6. 노화에 따른 변화와 질환 (0) | 2022.07.10 |
[요양보호사] 제2장 요양보호 관련 기초지식 / 1-5. 노화에 따른 변화와 질환 (0) | 2022.07.10 |
[요양보호사] 제2장 요양보호 관련 기초지식 / 1-4. 노화에 따른 변화와 질환 (0) | 2022.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