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노인성 질환의 특성
1) 단독으로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고, 하나의 질병에 걸리면 다른 질병을 동반하기 쉽다.
2) 증상이 거의 없거나 애매하여 정상적인 노화과정과 구분하기 어렵다.
3) 원인이 불명확한 만성 퇴행성 질환이 대부분
4) 경과가 길고, 재발이 빈번하며, 합병증이 생기기 쉽다.
5) 신장기능이 저하
6) 약물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
신장의 소변 농축 능력과 배설 능력이 저하되어
약물성분이 신체 내에 오래 남아 중독 상태에 빠질 수 있다.
7) 증상, 경과, 예후 등
초기 진단이 매우 어렵다.
8) 뇌졸중뿐 아니라 가벼운 폐렴, 설사 등에도
의식장애가 발생한다.
9) 혈액순환 저하로 욕창이 잘 발생한다.
골격근의 수축력 감소로 관절이 쉽게 뻣뻣해진다.
11) 신체적 측면뿐만 아니라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 영적 측면이 모두 연관
2. 노화에 따른 변화와 주요 질환
(1) 소화기계
- 위는 소화효소를 분비하며 섭취한 음식을 잘게 부수어
적당한 속도로 소장으로 내려보낸다.
- 대장은, 소화된 음식물의 수분을 흡수하여 대변형태로 굳게 만드는 역할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대장 내 세균들이 음식물을 분해한다. 가. 노화에 따른 특성
- 세포수가 줄고 후각기능이 떨어져 미각이 둔화
짠맛과 단맛에 둔해지고 쓴맛은 잘 느끼게 된다.
- 타액과 위액분비 저하 및 위액의 산도 저하로 소화능력이 저하된다.
- 가스가 차고, 변비, 설사, 구토 등이 생긴다.
- 지방의 흡수력이 떨어진다.
- 당내성이 떠렁져 당뇨병에 걸리기 쉽다.
- 직장벽의 탄력성이 감소 나. 주요 질환
1) 위염
- 위 점막의 염증 <증상>
- 급성 위염의 경우 식사 후 위가 무겁거나 부푼 듯한 팽만감
- 명치
- 식사 후 3~4시간이 지나 배가 고프기 시작할 때 발생하는
명치 부위의 심한 통증
<치료 및 예방>
- 제산제
- 자극적인 음식
2) 위궤양
- 위벽의 점막뿐만 아니라 근츅층까지 손상된 위장병
<관련 요인>
- 잘못된 식습관으로 인한 위 점막 손상 <증상>
- 새벽 1~2시에 발생하는 속쓰림과 상복부 불편감
- 위 천공, 위 협착 <치료 및 예방>
- 절대적으로 금연하여야 한다.
* 위궤양일 때 금연해야 하는 이유
담배와 다마배연기에는 발암물질과 유해화학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위궤양을 악화시킨다.
3) 위암
<관련 요인>
- 염장식품
<증상>
- 서서히 진행되어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음
<치료 및 예방>
- 치료 후 5년간은 병원에서 재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정기검진을 받는다.
- 조기 진단을 통한 조기 발견이 중요하다. 4) 대장암
- 대장의 가장 안쪽 표면인 점막에 발생
<관련 요인>
- 고지방, 고칼로리, 저섬유소, 가공 정제 된 저잔여식이의 섭취
<증상>
- 장습관의 변화와 장폐색, 설사, 변비
- 혈변, 직장 출혈, 점액 분비
<치료 및 예방>
- 치료 후 5년간은 병원에서 재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정기 검진을 받는다.
* 대장암 대상자의 식사
[1] 영양소가 골고루 들어있는 식품을 소량씩 규칙적으로 섭취한다.
[2] 음식의 소화가 쉽도록 천천히 꼭꼭 씹어서 먹는다.
[3] 잦은 간식과 늦은 식사를 피한다.
[4] 자극을 주는 찬 음식을 피한다.
[5] 음식을 싱겁게 먹는다.
[6] 통곡식, 생채소, 생과일을 많이 섭취한다.
[7] 동물성 식품의 섭취를 줄이고, 식물성 지방을 섭취한다.
[8] 가공식품, 인스턴트식품, 훈연식품을 피한다.
[9] 하루에 6~8잔 생수를 마신다.
[10] 금연, 절주한다.
[11] 소화에 도움이 되는 적당량의 운동을 한다.
5) 설사
- 변 속의 수분량이 증가하여 물같은 대변을 보는 상태로
배변량뿐 아니라 배변 횟수가 증가한 것을 말한다. <관련 요인>
- 하게 등 약물의 남용 <증상>
- 혈성 설사 <치료 및 예방>
- 심신을 안정하고 몸을 따뜻하게 한다.
- 음식물 섭취량을 줄이되 물은 충분히 마셔 탈수를 예방한다.
- 장운동을 증가시키는 음식의 섭취를 피한다.
- 지사제를 함부로 써서는 안 되며, * 지사제 남용 주의
- 설사는 장내 유해물질을 배출하여
자신의 신체를 보호하려는 자기 방어 반응인 경우가 많으므로
꼭 필요한 경우에만 짧게 사용해야 함.
6) 변비
- 잔변감
<관련 요인>
- 장운동 저하
- 저작능력 저하, 저잔여식이 섭취
- 복부 근육의 힘 약화
- 하제 남용으로 인한 배변반사 저하
- 변비를 유발하는 약물 사용
(항암제, 마약성 진통제, 제산제 등)
<치료 및 예방>
- 처방에 따라 하제를 사용할 수 있느나,
빈번하게 사용하면 변비를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 식물성 식이섬유, 유산균이 포함된 음식물과 다량의 물을 섭취한다.
- 우유는, 적극적으로 섭취한다.
- 체조, 걷기 운동을 함을써 대장의 운동력을 높이고,
복부 마사지로 배변을 돕는다.
- 변의가 생기면 즉시 화장실을 찾음으로써 배변 시기를 놓치지 않는다.
[출처] 요양보호사 양성 표준교재 / 보건복지부, pp126-137.
'국가자격증 > 자격증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양보호사] 제2장 요양보호 관련 기초지식 / 1-3. 노화에 따른 변화와 질환 (0) | 2022.07.10 |
---|---|
[요양보호사] 제2장 요양보호 관련 기초지식 / 1-2. 노화에 따른 변화와 질환 (0) | 2022.07.07 |
[요양보호사] 제1장 요양보호 개론 / 3-5. 인권과 직업윤리 (0) | 2022.07.04 |
[요양보호사] 제1장 요양보호 개론 / 3-4. 인권과 직업윤리 (0) | 2022.07.03 |
[요양보호사] 제1장 요양보호 개론 / 3-3. 인권과 직업윤리 (0) | 2022.07.03 |